영문학의 발전 ( ~ 1950년 대) :: 아이보리아카이브

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영문학의 발전 ( ~ 1950년 대)
    문학 literature 2023. 4. 28. 08:48

    20세기 영문학의 특징

    20세기 영문학은 상당한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변화를 특징으로 했으며, 이는 당시 문학에 반영되었습니다. 모더니즘 운동에서 포스트모더니즘에 이르기까지 20세기의 영문학은 다양한 스타일과 주제를 포괄했습니다. 20세기의 영문학은 모더니즘 운동에서 시작되어, 포스트모더니즘까지 이어졌습니다. 이 기간 동안 영어권 문학은 많은 사회, 정치, 문화적 변화를 반영하면서, 새로운 표현 방식과 주제를 모색하였습니다.

    모더니즘 운동은 19세기의 엄격한 문장 구조와 철학적인 이념에 대한 반발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모더니즘 문학의 특징으로는 대중적이지 않은 형식, 독특한 인상주의의 문장구조, 심리적인 복잡성, 일상적인 소재의 다루기 등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T.S. 엘리엇의 황무지(The Waste Land), 제임스 조이스의 율리시스(Ulysses), 버지니아 울프의 등대로(To the Lighthouse) 등이 있습니다. 이후 2차 세계대전과 함께 현대성이 더욱 강조되면서, 포스트모더니즘 문학이 등장하였습니다.

    황무지는 페트로니우스의 《사티리콘》에서 온 라틴어와 그리스어 묘비명으로 시작된다
    황무지는 페트로니우스의 《사티리콘》에서 온 라틴어와 그리스어 묘비명으로 시작된다. 이것은 "난 내 눈으로 항아리 안에 매달려 있는 쿠마에(Cumae, 나폴리 북서부) 무녀를 직접 보았어. 아이들이 무녀야, 뭘 원하니라고 물었을 때, 그녀는 대답했어. - 죽고 싶어"라는 의미이다. 이 묘비명에는 라틴어, 그리스어, 영어, 이태리어가 섞여있다. 출처 : 위키피디아

    포스트모더니즘 문학은 모더니즘 문학에서의 직관적인 표현과 철학적인 이념보다는 언어, 심리, 인식과 같은 주제를 다룹니다. 이런 주제를 다룰 때, 인간의 이해와 분석에 대한 의문을 던지며 현대적인 사회의 복잡성을 강조합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사무엘 베케트의 고도를 기다리며(Waiting for Godot), 토머스 핀치의 프랑스 중위의 여자(The French Lieutenant's Woman), 도널드 바서스키의 인식(The Recognitions) 등이 있습니다. 또한, 이 시기에는 여성, 민족, 성적 마이너리티, 환경 등 다양한 주제들이 새롭게 대두되었습니다. 1960년대와 70년대의 여성주의 문학과 유민주의 문학 등이 대표적입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시머스 이스와의 컬러 퍼플(The Color Purple), 글로리아 스타이넘의 The Second Sex 등이 있습니다.

    20세기 영문학은 전통적인 형식을 탈피하고, 다양한 주제와 표현 방식을 시도하며, 현대적인 사회의 변화와 문제에 대해 탐구하였습니다. 이러한 특징은 현재까지도 영문학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1900년대 이후 영문학에서 중요한 일부 작품을 연대순으로 소개하겠습니다.

    Heart of Darkness (1902)

    조셉 콘래드 Heart of Darkness는 인간 본성의 어둠과 식민주의의 공포를 탐구하는 중편 소설입니다. 19세기 콩고를 배경으로 하는 이 소설은 불가사의하고 애매한 커츠를 찾기 위해 콩고 강을 따라 여행하는 내레이터 Marlow의 여정을 따릅니다. 소설은 상징주의의 사용과 제국주의에 대한 비판에서 중요합니다.

    제임스 조이스의 율리시스(1922)

    율리시스는 아일랜드 더블린에서 하루 동안 세 인물의 경험을 따라가는 소설입니다. 이 소설은 의식의 흐름에 따른 내러티브 스타일, 실험적 문학 기법의 사용, 인간 조건에 대한 탐구라는 점에서 중요합니다.

    황무지 The Waste Land (1922) by T.S. 엘리엇

    황무지 The Waste Land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의 환멸과 분열을 반영하는 긴 시입니다. 이 시는 암시, 다중 음성, 파편화된 내러티브 구조의 사용과 현대 문명의 상태에 대한 논평에서 중요합니다.

    버지니아 울프의 댈러웨이 부인(1925)

    댈러웨이 부인은 제1차 세계대전 이후 런던의 상류층 여성 클라리사 댈러웨이의 하루 동안의 경험을 따라가는 소설입니다. 이 소설은 의식의 흐름 내레이션을 사용하고 등장인물의 내면을 탐구하며 사회적 관습과 성 역할에 대한 논평을 했다는 점에서 중요합니다.

    조지 오웰의 동물농장(1945)

    조지 오웰의 동물농장은 스탈린 치하의 소련을 비판하기 위해 알레고리를 사용하는 중편소설입니다. 중편 소설은 정치적 인물을 표현하기 위해 의인화된 동물을 사용하고 권력의 부패에 대한 논평에서 중요합니다.

    조지 오웰의 1984(1949)

    조지 오웰의 1984는 정부가 시민을 완전히 통제하는 전체주의 사회를 묘사하는 디스토피아 소설입니다. 이 소설은 전체주의의 위험에 대한 묘사, 권력과 통제의 본질에 대한 논평, 현대 문화와 정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중요합니다.

    호밀밭의 파수꾼(1951), J.D. 샐린저

    호밀밭의 파수꾼은 어른들의 세계에 적응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불만을 품은 십대 홀든 콜필드의 경험을 따라가는 소설입니다. 이 소설은 십대의 불안과 반항을 묘사하고 콜로를 사용했다는 점에서 중요합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